보존수치

치과 수복/보철 Prep 정리

1. 상악 중절치 PFM Crown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Incisal Reduction – 약 1.5mm 선삭제 후 총 2.0mm 확보 – 우선 1.5mm 정도 삭제(측절치 높이)
– 최종적으로 2mm 이상 확보하여 심미/강도 만족
2. Lingual Clearance 1~1.5mm – 설측에서 bur를 가파르게 대고, 절단 1/3 부위 삭제
– 폐구 상태에서 1mm 이상 공간 확인
3. Facial Reduction – 치경부 1~1.2mm
– 나머지 1.5mm (2-plane)
– Depth groove 2~3개 후 연결
– 치아의 자연스러운 순면 윤곽에 맞춰 삭제
4. Interproximal Reduction – 인접면 전체 삭제 – 절단부→치경부 방향으로
– Over taper 방지 (치아 장축 따라)
– 순-설 인접 코너는 둥글리지 말고 직선적으로 처리
5. Lingual Axial Reduction – 전체 0.5mm 삭제
– 축 방향 높이 약 1.5mm
– Chamfer margin 폭 0.5mm
– 치근 장축과 평행
– 인접 코너 부드럽게 연결
6. Facial Shoulder Margin – 폭: 1~1.2mm – Margin과 root 장축이 이루는 각도가 90°가 되도록 (bur 장축=치근 장축 평행)
– 인접면 치경부 언더컷 주의
7. Lingual Fossa Reduction 0.7~1.0mm – Football bur 사용, bur의 절반만 잠기게
– 설면 중간 1/3 부위만 매끄럽게 삭제
8. Finishing – 전체 마무리 – Margin 폭 균일
– 언더컷 제거, 2-plane 자연스럽게

2. 상악 견치 PFM Crown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Incisal (Cusp) Reduction 2mm – 견치 교두가 높으므로 충분히 삭제하면서 치아 형태 유지
Facial Reduction – Cervical 1/3: 1~1.2mm
– Incisal 2/3: 1.5mm
– 2-plane 유지
– 견치의 융선·볼륨 고려 (미용/심미)
Lingual Axial Reduction 0.5mm 내외 – Chamfer margin
– 치근 장축 평행
Interproximal Reduction – 인접면 전체 – Over taper 방지
– 인접 코너 부드럽게
Lingual Fossa Reduction 0.7~1mm – Football bur
– 설면 중간부 smooth
Margin Finishing – Shoulder (Facial) 1~1.2mm
– Chamfer (Lingual) 0.5mm
– 인접 치경부 언더컷 주의
– 충분한 두께 확보로 파절 방지

3. 상악 전치 All-Ceramic Crown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Incisal Reduction 1.5~2mm – 심미/투명도 위해 충분한 삭제
– 치아 형태 유지
2. Facial Reduction (2-plane) – 최소 1~1.2mm
– 치경부는 탈락 방향 평행
– 절단부는 치아 형태 평행
– Rounded Shoulder 1mm
– 인접면 0.8mm
3. Lingual Reduction 0.5~1mm – 세라믹 두께 확보
– Chamfer or Deep Chamfer
4. Margin Rounded Shoulder 1mm 이상 – 에나멜 chipping 방지
– 전체적으로 각진 부분 없이 부드럽게
5. Finishing – 전체 마무리 – 언더컷, over taper 점검
– 라운딩 처리, 세라믹 파절 주의

4. 하악 대구치 Gold Crown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Occlusal Reduction – 기능교두 1.5mm
– 비기능교두 1mm
– A-plane → B-plane → C-plane(기능교두 bevel)
– 해부학적 형태 재현
– C-plane 후 cusp tip이 인접치와 일직선
2. Axial Reduction – 협측: 2-plane
– 설측: 1-plane
– 협측 치경부(gingival 1/3)는 장축 평행
– occlusal 쪽으로 secondary plane 약간
– 설측은 장축과 평행하게
3. Interproximal Reduction – Top-down 방식 – 인접치 손상 방지 (wedge 등 사용)
– Over taper 주의
4. Margin Trimming – Chamfer bur로 margin 정리 – Bur 옆면(side) 사용
– 폭 0.5~0.8mm
5. Chamfer Fixing – 협설면 convergence 약 6 – 언더컷 제거
– 내벽 매끄럽게
6. Occlusal Finishing Bevel – 설측 교두 sharp edge 둥글게 – 교합 간섭 최소화
7. Refinement – enamel hatchet 등 – 교합면 세밀 조정
– 최종 매끄럼

5. 상악 대구치 Gold Crown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Occlusal Clearance – 기능교두(설측) 1.5mm 이상 – 해부학적 형태와 교합 고려
2. Axial Reduction – 협·근·원심 2-plane 고려 – 치경부 retention zone 유지
– 장축 평행 & secondary plane
3. Interproximal Clearance – Top-down – 인접치 손상 최소화
– wedge 활용
4. Chamfer Definition – 폭 0.5~0.8mm – Bur의 측면 이용, 매끄럽게 형성
5. Finishing Bevel – 기능교두, 비기능교두 bevel – 설측 기능교두 측 bevel 넓게
– 교합 높이 유지

6. 하악 대구치 PFM Crown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Occlusal Reduction 1.5~2mm
– Thick functional cusp bevel
– Small nonfunctional cusp bevel
– 교합면 충분 삭제 (PFM 도재 두께 확보)
2. Facial Reduction 1mm heavy chamfer margin – 순측은 도재가 올라가므로 1mm 이상 확보 필요
3. Lingual Reduction 0.5mm lingual chamfer – 금속 부분(설측)으로 얕은 chamfer
4. Proximal Reduction – 인접면 전체 – 인접치 손상 방지, over taper 주의
5. Margins 0.5mm supragingival – 치은건강 고려 (심미 시 상황 따라 조절)

7. Class I Amalgam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Outline Form – #330 bur 이용
– 폭 약 1mm 내외
– 깊이 1.5~2mm
– 교합면 소와·열구 따라 확장
– Internal line angle 둥글게
Resistance / Retention – 바닥 평평, 벽 약간 수렴 – Amalgam 고유의 수렴형 와동
– 최소 1.5mm 깊이
Finishing – Enamel hatchet 등 – 선각, 예각부 정리
– 교합간섭 확인

8. Class II MO Amalgam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Occlusal Outline – #330 bur
– Isthmus 폭 1mm
– Dovetail 폭 1.5mm
– Reverse S-curve
– Internal angle 둥글게 (Axiopulpal bevel)
2. Proximal Box – #245 bur
– 폭 1.2~1.4mm
– Gingival floor 0.5mm clearance
– 기능교두 쪽 벽은 예각, 비기능교두 쪽은 직각
– Undermined enamel 제거
3. Interproximal Clearance 0.5mm 이상 – 인접치 보호, wedge+매트릭스 이용
4. Finishing & Evaluation – Axiopulpal line bevel
– Undercut 제거
– MD 방향 수렴
– Occlusal contact 유지

9. Class II MO Gold Inlay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Pulpal Depth Cut – #330 bur (헤드 길이 1.6mm)
– 깊이 1.5mm
– 교합면 groove 따라 형성
– 금 인레이: 얕지 않도록
2. Occlusal Outline – Isthmus 폭 1~1.5mm
2~5° occlusal divergence
– Straight fissure bur
– Dovetail 형성 (교합력 분산)
3. Occlusal Flare – 169L bur로 135° 각도 (협설측 열어줌) – Secondary flare
– 심미부(MB margin) bevel 생략 가능
4. Proximal Box – 폭 0.8~1.2mm
– 인접치와 0.5mm clearance
– 협설 flare 먼저 부여
– Axial wall undercut X
5. Gingival Bevel 30~40°, 0.5~1mm 폭 – Hand instrument 이용
– MB margin은 심미 시 생략 가능
6. Occlusal Bevel 30~40°, 길이는 와동벽 깊이의 1/4 – 금 인레이 변연 적합도 향상
– Ceramic/Composite는 bevel 생략

10. Class II MOD Composite Resin/Ceramic Inlay Prep

단계 설명 / 삭제량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Outline Form (Occlusal + Box) – 외형 둥글게
– 깊이 2mm, 폭 2mm 권장
– Indirect 수복에서 삽입로 방해 없어야
– 사면(bevel)은 일반적으로 주지 않음
2. Internal Form – 전체 Taper 10~12° – Undercut 제거
– 과도 taper 시 유지력 저하
3. Interproximal Clearance 0.5mm – 인접치 손상 방지
– 접촉점 아래 박스 형성
4. Finishing – 날카로운 내부 모서리 제거 – 벽 매끄럽게
– Secondary flare, bevel 거의 X

11. 상악 대구치 Access Opening (근관)

단계 설명 / 도구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Outline Form – Round bur (High speed)
– Endo Z bur
– 변형된 삼각형 형태
– Central fossa 혹은 근심 쪽 punch cut 후 원심쪽 확장
– MB/DB/P orifice 찾아야 함
2. Canal Location – Pulp roof 제거 후 K-file – 바닥(홍색 왁스) 완전 제거 X, perforation 주의
– 근·원심, 협·설벽 gouging 방지
3. Refinement – Endo Z bur, Gates-Glidden – 직선적 접근 가능하게
– Dentinal shelf 제거
– 과도 삭제 주의

12. 상악 전치 Access Opening (근관)

단계 설명 / 도구 주요 포인트 / 주의사항
1. Entry – Round bur (High speed), 설면 수직 진입 – 설면 중앙부 punch cut
– 치수강 진입 후 pulp chamber 확인
2. Exterior Form – 근원심, 순측 wall 확장
– Incisal까지 오픈
– Labial 면 보존 (심미)
– Lingual shelf 제거로 orifice 관찰
3. Refinement – Endo Z bur, Gates-Glidden (필요 시) – 치축 평행
– Incisal wall flare 형성
– Orifice 위치 확정

보존수복·근관치료 총정리 (표 형식)


1. 치아 경조직 (법랑질·상아질) 주요 특징

항목 주요 내용
법랑질(Enamel) – 무기질 96%, 유기질+수분 4%
– 가장 단단하나 인장강도 낮아 깨지기 쉬움
– Hunter-Schreger band, Retzius line 등 광학·조직학적 특징
– 표면은 반투명 (불투명 X)
상아질(Dentin) – 무기질 70~75%, 유기질+수분 약 25~30%
– 상아세관: DEJ 근처(0.9µm) → 중앙부(1.2µm) → 치수근처(2.5µm)
– 관주상아질(고도 광화) vs 관간상아질(교원섬유+HA결합)
– 노화 시 상아세관 투과도 감소, 탄성계수 증가(균열 위험)
DEJ – 법랑질·상아질이 물결모양/기계적 감입으로 강한 결합
법랑질 물리적 특성 – 탄성계수 높으나 인장강도 낮음 → 깨지기 쉬움
– 외관: 반투명
상아질 물리적 특성 – 압축력 강함, 치아의 완충 작용
– 치수 건강 시 삼차상아질, 경화상아질 형성
– 노화: 투과성↓, 탄성계수↑

2. 치아 우식 및 경조직 결손

(1) 우식 병소 진행 형태

우식 위치 특징 및 형태
소와열구 우식 – 교합면, 협면·설면 소와/열구
– Inverted V (DEJ 쪽이 더 넓어지는 원추형)
평활면 우식 – 인접면, 협설면 등 평활부
– V 형태(표면 넓고 내부 좁아짐)
치근면 우식 – 치근 노출부, 치주퇴축 부위
– 진행 빠르고 방사선 진단 어려움
비우식성 결손 부식(erosion): 산에 의한 화학적 손실
마모(abrasion): 물리적 마찰(칫솔질 등)
굴곡파절(abfraction): 편심교합력 → 치경부 V자형 결손

(2) 탈회·재광화, 2차 우식

  • 법랑질 초기 병소: 탈회와 재광화 반복 가능 → 비개방 병소 관리 시 정지성 우식 가능
  • 상아질 탈회: 법랑질 표면 파괴 전 심부 상아질 탈회가 먼저 시작됨 → 조기 재광화 필요
  • 2차 우식: 기존 수복물 변연부 하방에서 빈번히 발생

3. 보존수복재 물성과 적용

(1) 열전도율 & 열팽창계수

항목 열전도율 (높 → 낮) 열팽창계수 (높 → 낮)
재료별 순위 금 > 아말감 > 법랑질 > 상아질 > ZOE 복합레진(30~45) > 아말감(22~28) > 금(14) > 법랑질(10)≈상아질(9~11)
의의 – 금속은 열전달 빨라 치수 보호층 필요
– 복합레진, 아말감은 치아 대비 열팽창계수 커서 미세누출 위험
– GI는 치아와 유사 → 미세누출 적음
– 열팽창계수 차 커지면 percolation(투수현상) 발생

(2) 복합레진 (Composite Resin)

항목 주요 내용
조성 – 수지기질(Bis-GMA, UDMA 등) + 충전재(실리카, 유리 등) + 실란 커플링
– 중합 개시제(캠포르퀴논) 등 포함
물성 – 중합수축(2~7%), 열팽창계수↑
– 강도·마모저항은 충전재 함량, 입자크기에 좌우
종류 – 미세입자형: 심미·연마성 우수, 강도↓, 수축↑
– 하이브리드/나노: 강도·연마성 균형
장단점 – 장점: 심미성, 접착술로 치질 보존, 간편 수복
– 단점: 중합수축응력, 미세누출, 마모
적층 (Incremental) 2mm 이하로 나누어 광중합 반복 (C-factor 관리)
– 수축응력과 변연누출 최소화

(3) 아말감 (Amalgam)

항목 주요 내용
구성 – 은·주석·구리 + 수은
– 고동아말감(High Cu): γ2 상 억제로 크리프↓, 변연파절↓
연화(trituration) – 불충분: 강도↓, 경화 느림
– 과도: 수축↑, 가소성↓, 물성↓
응축 & 조각 – 소량씩 충전 후 강응축
– Burnish(문지르기) & Carving(조각)으로 변연 적합도 및 해부학적 형태 재현
장단점 – 장점: 오랜 임상데이터, 강도 좋음, 저렴
– 단점: 심미↓, 접착성 없음, 수은 이슈

(4) 글래스아이오노머(GI) & RMGI

항목 전통형 GI RMGI
경화기전 산-염기반응 (폴리알케노익산 + 유리필러) 산-염기 + 레진(광중합)
장점 – 치아와 화학결합
– 불소방출
– 열팽창계수 치아와 유사
– 초기강도↑, 광중합 가능
– 전통형과 유사한 불소방출
– 조작성이 개선
단점 – 초기 수분 민감
– 강도 낮아 교합면 직접 충전에 부적합
– 수분 흡수로 장기간 팽창 가능
– 물성(강도, 마모저항)은 복합레진보다 낮음
적응증 5급, 유치부, 저교합력 부위 3급, 5급, 유치 1·2급 등
– 심미 필요하며 교합부하가 크지 않은 부위

4. 와동 형성 · 충전 및 수복 형태

(1) Cavosurface angle

수복재 권장 각도 이유
아말감 90° 유리법랑질 제거, 지지받는 법랑질만 남김
복합레진 60~80°
(45° 사면)
접착력 극대화, 교합력 큰 곳은 90° 유지
금 인레이 30~40° 얇은 금속 변연 & Burnishing 용이
도재 90° Butt-joint 얇은 도재 변연 깨지기 쉬움, 수직 변연이 유리

(2) 2급 수복 인접면 매트릭스

매트릭스 시스템 특징
Tofflemire – 고전적 방법, 밴드로 전체 둘러싸므로 인접치와 접촉점 복원은 다소 제한
– 고정용 Retainer로 밴드 조절
Sectional + Ring – 개별 인접면에 매트릭스 밴드를 적용
– Ring과 Wedge로 법랑질 쪽으로 강력 밀착 → 정확한 접촉점 재현

5. 근관치료 (Endodontics)

(1) 근관 기구 및 조작법

기구 단면/제작 특징
K-file 사각(90°) 꼬임 Filing에 용이, 날 수 많아 상아질 삭제력 좋음
Reamer 삼각(60°) 꼬임 날 사이 간격 넓어 잔사 제거 유리, Reaming 동작
H-file 원봉을 깎아 홈 파서 제작 삭제력 큼, 파절 주의(무리 회전 X)
NiTi 니켈-티타늄 합금 만곡 근관에 유리, 무변형 파절 가능성(사전징후 적음)
  • 전자근관장 측정기: 근단공 도달 시 알림, 실제 작업장 길이 –0.5~1.0mm 설정
  • 근관세척:
    • NaOCl: 유기조직 용해·살균
    • EDTA: 무기질 탈회, 도말층 제거
    • CHX: 살균되나 유기조직 용해 불가, NaOCl와 혼합 시 침전 주의
  • 근관 내 약제: Ca(OH)2 (항균, 치근흡수 방지, pH↑)

(2) 근관 충전

충전법 주요 내용
측방가압
(Lateral)
– 가장 보편적, 길이 조절 용이
– 보조 콘 추가하여 밀폐
온열 수직가압
(Warm Vertical)
– 가열 GP를 수직 압착하여 불규칙 근관 충전 우수
– Down-pack + Back-fill 과정, 술식 복잡
Continuous Wave – 온열 수직가압 변형술, down-pack과 back-fill을 연속적으로
– 숙련 시 단시간에 수직가압 효과
주입식
(Thermoplasticized GP)
– 열가소화된 거타퍼차를 주입기로 직접 근관 내 주입
– 만곡부·내흡수 부위 충전에 유리, 길이조절 주의

6. 치아 외상 (Trauma) 및 치수치료

(1) 탈구 분류 및 처치

유형 증상/징후 고정 기간 (필요 시)
진탕
(Concussion)
타진통(+), 동요도(-), 변위(-) 필요 없음
아탈구
(Subluxation)
타진통(+), 동요도(+), 변위(-) 2주 이하 (심할 시)
측방탈구
(Lateral Luxation)
치아가 순/설/근/원심 등으로 변위 4
함입
(Intrusion)
치아가 치조골 내로 깊이 들어감 미성숙치: 자발 정출 3~4
필요 시 교정정출
완전탈구
(Avulsion)
치아 완전 이탈, 치주인대 손상 1~2주 고정, 건조 60분 이하 시 예후 ↑

(2) 치근파절 (Root Fracture)

위치 예후 고정 기간
치근단 1/3 변위 적고, 치수생활력 유지 가능성 ↑
치관부만 괴사 시 부분근관치료
4
중간 1/3 중등도 동요, 결체조직 형성으로 치유 4
치경부 1/3 동요도 ↑, 예후 불량 (발치 or 치근절제 고려) 4개월

(3) 치수생활력 유지 vs 근관치료

  • 직접치수복조 (DPC): 우발적·외상성 치수노출(24시간 이내), 소규모 노출, 10분 내 지혈 가능
  • 부분치수절단술 (Cvek): 시간 지났어도 치수 괴사 X → 상부 치수만 절단, MTA 등으로 덮음
  • Apexogenesis (생활치): 미성숙 영구치에서 치수 보존해 치근성장 계속 유도
  • Apexification (비생활치): 근첨 개방 상태 치수 괴사, Ca(OH)2나 MTA plug로 근단폐쇄

7. 치수-치주 연관병소 & 치근단수술

  • 치수-치주 연관: 근첨공, 측지관 통해 염증 상호 파급 (1차 치수성→2차 치주성 등)
  • 의도적 재식술: 발치 후 근관 처치 & 재식 (건조 시간 최소화 필수)
  • 치근단수술 (Apical Surgery):
    • 적응증: 재근관치료 불가, 포스트 제거 곤란, 근단 병소 지속
    • 절개 & 골창 → 치근단 3mm 절제(0~10° bevel) → 초음파 역충전(3mm) → MTA 등 재료
  • 미백(Bleaching):
    • 실활치: Walking bleach(과붕산나트륨+과산화수소수)
    • 활치: Home bleaching(10% Carbamide peroxide)
    • 미백 직후 레진수복은 최소 1주 대기(잔류 산소로 중합 방해)

Copyright © 2023 보존수복·근관치료 요약. All rights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