외과

외과 퀴즈 (200)

신경손상 분류 (Seddon vs. Sunderland)

신경손상 분류 (Seddon vs. Sunderland)

Sunderland 분류 Seddon 분류 조직 손상 범위 임상적 특징 / 예후 예시 설명
1도 1도
(Neurapraxia, 신경실행증)
– 축삭(axon)과 신경외막(epineurium) 등 구조 연속성 정상
– 단순 전도 차단 정도 (타박, 국소 압박 등)
– 수시간 ~ 수개월 내 자발적 완전 회복 가능
– Waller 변성은 없음
– 단순 타박, 국소적 허혈
– 짧은 시간의 외력에 의해 일시적 신경 전도 장애
2도 2도
(Axonotmesis, 축삭단절)
– 축삭(axon)과 수초(myelin)는 단절
– 신경내막(endoneurium), 신경주막(perineurium), 신경외막(epineurium) 등 결합조직은 보존
– Wallerian degeneration(퇴행성 변화) 발생
– 3~4개월 내 자발적 재생, 기능 회복 가능
– 축삭이 남은 결합조직 지주를 따라 재생
– Seddon의 2도 > 자연회복 예후가 양호
3도 3도
(Neurotmesis, 부분)
– 축삭 + 신경내막(endoneurium) 손상
– 신경주막(perineurium), 신경외막(epineurium)은 부분적 또는 대부분 보존
– 자극 반응 불명확
– 2~4개월 내 불완전 회복 (예후가 2도보다 나쁨)
– 내부 endoneurium 경로 손실
– 일부 자발 재생 가능하지만 완전 회복은 어려울 수 있음
4도 3도
(Neurotmesis, 심한)
– 축삭 + 신경내막 + 신경주막(perineurium)까지 손상
– 신경외막(epineurium)만 남아있음
– 6~12개월 내 제한적 회복
– 심각한 영구 후유증 위험
– 대부분의 신경 구조 파괴
– 자연회복 어려워 수술적 재건(봉합 등) 고려
5도 3도
(Neurotmesis, 완전)
– 축삭, 내막, 주막, 외막 모두 절단
– 신경 연속성 완전 소실
– 자연치유 불가
– 외과적 봉합 or 이식 필요
– 예후 가장 불량
– 완전 절단 (Complete transection)
– Seddon 분류의 최악 상황 (Neurotmesis)

주요 내용 정리:
Seddon 분류는 크게 3단계(Neurapraxia, Axonotmesis, Neurotmesis).
Sunderland 분류는 Seddon의 2, 3단계를 세분화하여 5단계로 표현.
– 1도(Neurapraxia)는 단순 전도차단, 축삭 손상 없음 → 완전 회복 가능.
– 2도(Axonotmesis)는 축삭 단절 → Wallerian 변성 후 자발 재생 가능.
– 3~5도(Neurotmesis)는 결합조직 지지 구조까지 손상 → 고도 손상일수록 예후 악화, 수술적 처치 필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