치주 술식, 분류 70제

치주 술식,분류 퀴즈 (70)

치주·구강 연조직 수술 및 치유과정 (슬라이드 형식)
치주·구강 연조직 수술 및 치유과정 정리
구분 술식 목적 적응증 특징/설명
기본 치유술식 초기 치유 단계 (0~3일) – 혈병(응고) 형성, 혈장 순환 통한 영양 공급 – 모든 이식(이식술ㆍ성형술ㆍ골이식 등) 후 가장 초기에 공통적으로 진행 – 상피 변성과 괴사 및 일부 탈락이 발생할 수 있음
– 혈병(Clot)이 가장 중요: 제거되면 치유 지연
맥관 재생기 (2~11일) – 혈관 문합, 결합조직 섬유 형성
– 재상피화(상피화) 진행
– 모든 이식술 후 중기 과정 – 신생 혈관이 형성되고, 콜라겐 섬유가 자리잡아 조직이 점차 안정화
– 상피가 결손부를 덮기 시작
조직 성숙기 (11~42일) – 조직 안정화, 혈관계 정상화
– 상피 각화 및 치유 완성
– 모든 이식술 후 후기 과정 – 이식(또는 수술) 부위가 점차 단단해지고, 성숙한 조직이 됨
– 약 4~6주 후에는 임상적으로 비교적 안정
치은 성형술 근단 이동 판막술 – 치주낭 제거 & 부착치은 폭 증가 – 치주낭이 치은ㆍ점막 경계부(치은연)보다 하방에 위치하여
  부착치은이 부족한 경우
– 전층 혹은 부분층 판막을 들어올려 치은을 근단 쪽(아래쪽)으로 이동
– 치주낭을 제거하고 부착치은 폭을 확보
치관 변위 판막술 – 부착치은 확보 & 치관 쪽으로 이동 – 1~3개 치아에서 치은퇴축이 얕고,
  치주낭이 거의 없는 경우
– 치관 방향으로 판막을 이동함
– 추가적인 치은 이식 후 2개월 정도 지나 시행하기도 함
측방 이동 판막술 – 치근 피개(노출 치근 덮기),
  부착치은 폭 증가
– 특정 치아에 치은퇴축이 있으며,
  퇴축부 인접부(측방)에 건강한 공여 치은이 충분한 경우
– 부분층 판막으로 박리 후,
  건강한 치은을 측방(옆)으로 이동
– 판막 장력 제거 위해 사선 절개 이용
치은 이식술 유리 치은 이식술 (FGG) – 부착치은 형성,
  구강 전정(vestibule) 깊이 증가
– 부착치은 부족,
  치은 퇴축 덮기,
  소대 및 근육 부착 조정
– 공여부: 주로 구개 점막(팔라트)
– 이식편 두께 1~2mm 권장
– 색조·질감이 수혜부와 다를 수 있으나
  부착치은 폭 늘리는 데 탁월
상피하 결합조직 이식술 (SCTG) – 치근 피개(퇴축부 덮기),
  심미성 향상
– Miller Class I, II 치은퇴축,
  치아 과민증, 치경부 마모증 등
– 구개 점막에서 결합조직만 떼어 이식
– Envelope, Langer&Langer 등 기법
– 색조·질감이 수혜부와 조화, 심미적 우수
조직 재생술 조직유도재생술(GTR) – 치주조직(골·치주인대·시멘트) 재생 – 치근 표면에 치주 결손(수직성 골파괴,
  2·3 wall defect 등)
– 차폐막(멤브레인) 사용
– 상피가 치근면에 먼저 부착되는 것을 막고,
  PDL세포가 먼저 점유하도록 유도
기타 치주 성형술 소대 절제술(Frenectomy) – 소대·근육 부착 위치 수정,
  치은퇴축 예방
– 구강저나 순측/설측 소대 부착이 낮고,
  부착치은 부족 또는 치은퇴축 유발
– 소대나 근육 섬유를 절제·이동
– 부착치은·치조골 보전 목적
구강 전정 성형술 (Vestibuloplasty) – 구강 전정(vestibule) 깊이 증가 – 근육 부착 위치로 인해 전정이 얕아,
  의치 안정성 불량 또는 치주관리 어려운 경우
– “유리 치은 이식술”과 병행 가능
– 하악·상악 전정 모두 적용 가능
– 전정 깊이를 확보하여 보철(의치·임플란트) 안정성↑
심미적·보철적 술식 치관 연장술(Crown lengthening) – 임상 치관 길이 연장,
  보철 경계 확보, 심미성 향상
– 임상 치관이 짧거나,
  치경부 우식·파절로 수복 경계부 확보 어려운 경우
– 치은 미소(Excessive gingiva)
– 치은 절제술+골 삭제(조정)로 치아 노출 증가
– 심미부는 정교한 수술 설계 필요
– 보철·교합·치주 상태 종합 고려
여러 치주 분류 정리
주요 치주 분류 및 술식 정리
분류명 분류 내용/단계 적응증/사용 범위 특징/설명
Seibert 분류
(능선 결손)
  • Class I: 협설(B-L) 폭 결손만
  • Class II: 수직(Apico-coronal) 높이 결손만
  • Class III: 수평+수직 결손 동시
– 치조제(alveolar ridge)에서 미적·기능적 보철 전
재건(골이식, 연조직 이식) 시 결손 형태 파악
– 능선 결손의 방향(수평/수직/혼합)을 분류하여
  보철·임플란트 수복 전에 재건술(GBR, 연조직 이식) 계획 수립에 도움
– Class III가 가장 복잡한 결손
Altered
Passive Eruption
(Coslet 등 분류)
  • Type 1: 치은연이 치근단 쪽으로 충분히 이동 못 함, 치관 짧아 보임
  • Type 2: 골연이 치경부와 너무 근접, 치은이 과잉 피개
  • 각 Type은 A, B로 세분 (치조골 위치 차이)
– 임상치관이 짧아 보이거나
과잉치은(gummy smile) 개선 등
– 치관연장술(절제술+골삭제) 적응증 확인
– 정상적인 수동 맹출(passive eruption)이 일어나지 않아
  치은이 과도하게 남아 치아가 짧게 보임
– 수술(치은절제, 골삭제)로 치관 노출 늘려 심미 개선
Tarnow (Interdental Papilla)
  • Contact point ~ alveolar crest
    거리 5mm 이하면 98% 유두 충만
  • 6mm → 약 56%, 7mm 이상 → 27%
– 치간유두(black triangle) 문제
– 심미 영역에서 유두 재건 가능성 평가
– Contact point와 골정 사이 거리
  5mm 이하일 때 치간유두가 대부분 채워짐
– 치주/보철/교정에서 심미적 유두 유지의 기준
융선증대술식
(Ridge augmentation)
  • 수평증대: GBR, block graft 등
  • 수직증대: 골신장술(distraction) 등
– 치조골 결손부(폭/높이) 회복
– 임플란트 식립 전 골확보
– Seibert Class I, II, III 등 결손 형태에 따라 방식 결정
– 수평/수직 골증대, 연조직 증대 등을 조합
– 보철적·심미적 결과 향상
Miller 분류
(치은퇴축)
  • Class I: 퇴축이 MGJ 안쪽, 간격 無, 심미적 치유↑
  • Class II: 퇴축이 MGJ 넘음, 치간유두 정상
  • Class III: 치간유두 소실 일부
  • Class IV: 치간부 심각한 골소실
– 치근 노출(퇴축) 정도와
치간유두 상태로 예후 평가
– 치근 피개 수술 시 참고
– Class I, II: 완전 덮임 가능성 높음
– Class III: 부분적 덮임만 가능
– Class IV: 덮임 예후 불량
Glickman 분류
(분기부 병소)
  • Grade I: 초발(incipient)
  • Grade II: 부분 관통(cul-de-sac)
  • Grade III: 완전 관통(through-and-through)
  • Grade IV: 관통 + 치은퇴축으로 구강 내 노출
– 다근치(대구치) 치근분기부 병소
– 치주낭 깊이, 방사선 소견 등 평가
– Grade II: 한쪽 방향으로 탐침 들어가지만 반대편 관통X
– Grade III: 완전 관통, 반대편까지 탐침
– Grade IV: 노출되어 시각적으로도 관찰
Hamp 분류
(Furcation)
/ Lindhe-Hamp
  • Degree I: 수평 관여 ≤3mm
  • Degree II: 수평 관여 >3mm (관통X)
  • Degree III: through-and-through
– Glickman과 유사하게
근간부(분기부) 병소 평가 시 사용
– 근간부 수평적 탐침 깊이에 따라 구분
– Degree III = 완전 관통 (양방향)
– Glickman Grade III, IV와 비슷